EXADATA Developer - 1
> OCP와 연결된 교육
> EXADATA
- 요즘 Oracle DB 중 가장 핫
- EXADATA Database machine
- 특징
1. pre-configured
: 시스템을 구축을 할 때, Storage, DB, Network 등을 결정한다. 이런 점들이 모두 다 정해져있음.
2. pre-tested
: 이런 DB 시스템들이 모두 테스트되어 있고,
3. pre-tuned
: 튜닝이 되어 있음.
- DB
> DB11gR2, ASM
> ASM (Automatic Storage Management)
> Storage를 DB가 관리한다. SAME(Stripe And Mirror Everything)을 시스템 엔지니어가 한다.
> Stripe란 데이터 파일을 쪼개서 분산 시킨다. I/O를 분산 시키기 위해서. (Hot Spot을 제거하기 위해서)
> Mirroring은 동일한 데이터를 카피 시킴. 디스크가 깨진 경우 복구를 위해서. Storage단의 복구를 위해. (Fault Tolerance)
> Raid라는 개념
> LVM (Storage 구매시 Storage 관련 Tool)
- Storage option (DB 설치할 때 Storage 설정)
1. File System
2. raw device (File System이 아니므로 관리가 어렵지만, 성능 때문에 사용. 근데 이거 사용하지 않겠다. Direct I/O를 File System에서 제공하므로.)
3. ASM (File System + LVM)
: Automatic Storage Management (ASM) is an integrated, high-performance database file system and disk manager
- EXADATA는 기본적으로 ASM 사용.
- NW
> EXA를 도입하는 회사들이 좋아하는 이유가, NW가 빨라서.
> Infiniband : 40Gb/s (비쌈)
- Storage (Cell Server)
> EXA Machine에서 Storage를 Cell이라고함.
> Cell Server S/W 有
1. Cell offloading
: 기존에 DB Server가 하는 작업을 Storage에서 작업하게 하겠다. 그 이유는, DB가 바쁠 수 밖에 없으니, 그 일을 대신해준다.
2. 쿼리를 DB에 날리면, DB 안에 포함한 라이브러리가 iDB라는 커맨드 프로토콜을 생성. 이 CMD 안에는 쿼리에 대한 분석(SELECT 대상, WHERE 조건 등)을 Infiniband를 통해서 Cell Server S/W에 보냄.
Cell Server는 이를 처리해서 결과를 DB에 다시 보냄. 실제 Return 되는 데이터 볼륨이 감소함.
3. Smart Scan!
: Query와 관련된 Cell Offloading 작업으로, Cell 단에서 DB 작업이 이뤄질 것이고, 데이터 볼륨이 감소되어 Return된다.
: 오라클은 Block I/O도 하지만, Smart Scan I/O도 함. Smart Scan I/O 형태의 Query를 날리는 것이 가장 중요.
: Smary Scan은 Optimizer가 관여하지 않음.
> EXADATA History
- V1. 2008. HP. X2-2와 유사. Flash Cache X (SSD). DW Machine (분석 위주의 업무에 적합한 설계).
> HDD : Outer track(Hot region)이 Inner track(Cold region) 보다 더 많이 읽음.
> SDD : HDD 보단 빠르고, 메모리 보다는 느림.
> 발열 문제, bug 많았음.
- V2. 2009. SUN. Bigger and faster, Flash cache O.
- X Series
- X2. 2010. X2-2 (DB Server의 CPUT Socket 개수), X2-8
- X2-2
1. Quater Rack : DB 2, Cell 3
2. Half Rack : DB 4, Cell 7
3. Full Rack : DB 8, Cell 14
- X2-8
1. Full Rack으로만 운영.
- X3. 2012.10.
> 1/8 Rack : DB2, Cell 3. HDD, Flash Cache, CPU를 1/2만 사용할 수 있게 S/W Locking이 되어 있음.
- X4. 2014.1. 12 Core. Flash Cache가 400G -> 800G / PCI -> Bigdata appliance. In-memory machine. => 하드웨어적 성능 튜닝이 잘 되어 있음. + Infiniband와 함께 속도 무지 빠름.
> E7이라는 CPU가 DB에 Workload를 분석해서 프로세스 개수를 정해줌.
- X5. 2015.3. HardWare Type이 HP, HC로 나눠지는데, HP가 X5에서 없어지고 Extreme Flash Storage로 변함. 모두 Flash Storage이니 무지 빠름.
> COD (Capacity On Demand)
: COD 단위로 구매할 수 있게 바뀜. 최소 구매 기준(DB 2, Cell 3)이면 자유롭게 Upgrade.
> 12c : In-memory option
: Columnar format -> I/O 속도가 빠름. 왜?
: DB Memory에는 Buffer Cache가 있고, Cell에는 HD와 FC(Flash Cache)가 있음.
: 데이터 읽는 순서
1. Buffer Cache 2. FC. 3.HD
HD가 읽으면 FC로 Caching하는데, Column 형태로 Caching. (Columnar Format)
: Block 안에서 Row를 읽고, Column을 거르는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고, 메모리에 a 컬럼 데이터, b 컬럼 데이터로 나눠서 저장됨. 따라서 Columnar Format으로 하면 빠르지.
- X6. 2016.5. 가장 최신 모델
'오라클 EXADAT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XADATA Developer - 6 (0) | 2017.02.14 |
---|---|
EXADATA Developer - 5 (0) | 2017.02.13 |
EXADATA Developer - 4 (0) | 2017.02.13 |
EXADATA Developer - 3 (0) | 2017.02.13 |
EXADATA Developer - 2 (0) | 2017.02.13 |